[조선직장인의 한국사] 요점정리 (2)

 한국사 시험준비에 이어 

한국사 공부를 위한 요점정리 겸 같이 공부를 하고 있다. 

오로지! 출제중심의 요점정리를 해보려 한다. 



-고조선-

1. (범금 8조법) 왕 아래 (.대부.장군)

2. (위만)이 이주.정착 시 (준왕)에게 항복

3. (진번.임둔)을 복속

4. ‘진국사이 중계 무역 이득 독점

5. 한 무제가 파견한 군대의 공격으로 멸망

6. 우거왕께 모종의 건의를 했으나 무시당함

7. 단군왕검이 건군, 매년 103일 마니산 첨성단에서 고조선의 건국 기념행사 시행

8. 전국 7웅 중 하나인 연과 대립할 만큼 강성

 

-부여-

1. 영고(12)

2. 형사취수제(형이 죽으면 형의 와이프를 동생이 와이프로 맞이 함)

3. 여러 가들이 각각 사출도 주관

4. 남의 물건 훔쳤을 때 12배로 배상

 

[부여] 왕 해부루가 늙도록 아들이 없자 신천에 제사지내어 대를 이을 자식을 구하였다. 그가 탄 말이 곤연에 이르러 큰돌을 보더니 마주 대하며 눈물을 흘렸다. 왕이 이를 괴상히 여겨 사람을 시켜 그 돌을 옮기니 어린아이가 있었는데 금색의 개구리 모양이었다...... 이름을 금와라 하고, 장성하자 태자로 삼았다.[삼국사기]

 

-삼한-

1. 삼한의 소국들은 신지, 읍차 등으로 불리는 군장들이 정치를 함

2. 제사장인 천군은 소도라는 특별 구역에서 제천행사를 담당

3. 5월과 10월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냄

 

-동예-

1. 읍락 간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

2. 군장으로 읍군, 삼로 등이 있다.

3. 특산물로 단국, 과하마, 반어피 유명

4. 무천이란 제천행사

 

-옥저-

1. 민며느리제라는 풍습이 있다.

2. 가족이 죽으면 뼈를 추려 가족 공동무덤에 인치

3. 삼로라 불린 우두머리가 읍락을 다스림

 

여자의 나이가 열 살이 되기 전에 혼인을 약속하고, 신랑집에서 맞이하여 장성할 때까지 기른다. 여자가 장성하면 여자 집으로 돌아가게 한다. 여자 집에서는 돈을 요구하는데, 신랑 집에서 돈을 지불한 후 다시 데리고 와서 아내로 삼는다.[옥저 민며느리제도]

 

-백제-

1. 정사암 회의에서 국가 중대사 결정

2. 마한의 목지국을 압도하고 지역의 맹주로 발돋움

 

-고구려-

1. 백제와 연합하여 금성 공격

2.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진대법 실시

3. 혼인풍습으로 서옥제

4. 왕 아래 상가, 대로,, 패자 등 관직 있음

 

-가야-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에 수출

 

읍마다 우두머리가 있어 세력이 강대하면 신지라 하고, ........... 그 다음은 읍차라 하였다. 나라에는 철이 생산되는데 예, 왜 등이 와서 사간다. 무역에서 철을 화폐로 사용한다. [가야]



                                                                                         To be continued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내식당 투어] 가산디지털단지 "바른식탁"

[조선직장인의 노하우] 남한산성 등산

[카페투어] 명학역 숨맑은집 명학포레스트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