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독서인 게시물 표시

조선 직장인_마흔에 읽는 니체(Nietzsche)

이미지
  내일 죽을 것처럼 오늘을 사랑하라! 세비야(Seville)의 대주교를 지냈던 이시도르(Isidore, 560~636)라는 사람의 글이라는 말이있다. 지나온 세월의 흔적을 느끼며 삶에 안주하려 하는 이 순간 문득 눈길을 끄는 책이 있었다. 책을 읽으며 나는 어떻게 이 삶을 사랑할 것이며, 삶이 나에게 말하고자 하는 의미 가 무엇인지 귀 기울이게 되었다. 장재형 저 / 유노북스 / 2022년 09월 01일 책을 읽고 있으면 여러가지 질문들이 나에게 주어진다. '나에게 남은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내가 가진 모든 것이 나를 행복하게 해 주는가?' '나는 내 삶을 제대로 누려 본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가?' '나는 과연 내 인생의 주인인가 아니면 노예인가?' 한국 사회에서 마흔이 주는 의미는 매우 클 것이다.  사회적으로 자리를 잡아서 본인의 역량 뽐내고 있을 수도 있고, 명예퇴직, 실업, 사업의 실패 등 다양한 삶의 변화들을 맞이하고 있을 수도 있다.  '마흔에 읽는 니체' 를 관통하는 핵심은 변화와 도전을 두려워하지 말라 는 것인 것 같다.  늘 해왔고 안정되다고 여기는 일과, 하고 싶고 나를 흥분시키는 일들 속에서 우리는 이것이 운명이라 믿으며 해왔던 일 안정되다고 여기는 그 일들을 하려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과연 이러한 삶은 누구를 위한 삶인지 궁극적인 물음을 던지게 해준다.  니체는 정신이 발전하는 단계를 세 단계로 구분하여 말하고 있다.  정신은 낙타가 되고, 낙타는 사자가 되고, 사자는 아이로 발전한다.  1. 낙타정신이다.  낙타의 정신은 무거운 짐을 지고 버텨 내는 삶의 태도 를 말한다. 곧 강인한 정신과 인내심을 의미한다. 낙타는 현실에 체념하며 '나는 해야 한다' 라며 주인의 명령에 복종할 뿐이다. 자유로운 정신을 강조하는 니체는 낙타를 통해 현대인의 노예적인 모습 을 비유하였다.  2. 사자정신이다.  사자는 자...

[juniors-dream] Daddy-Long-Legs novel, book report

  "Daddy-Long-Legs" is a novel written by Jean Webster and first published in 1912. The book is written in the form of a series of letters sent by a young orphan girl named Jerusha Abbott to her anonymous benefactor whom she nicknames "Daddy-Long-Legs" because of his long, spindly shadow.   Jerusha, who is referred to as Judy throughout the book, is an 18-year-old orphan who has spent her entire life in an orphanage. One day, she is offered the chance to attend college by an anonymous benefactor who has seen her potential as a writer. The only condition of the scholarship is that Judy must write regular letters to her benefactor, whom she has never met, and who remains anonymous throughout the book.   Judy is thrilled to leave the orphanage and start her new life at college. She quickly makes friends with other students and begins to thrive academically. As she writes her letters to Daddy-Long-Legs, she begins to reveal more and more about her life and her innermost...

에베소서 2장 (Ephesians 2)

  1. 너희의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를 살리셨도다 2. 그 때에 너희가 그 가운데서 행하여 이 세상 풍속을 좇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으니 곧 지금 불순종의 아들들 가운데서 역사하는 영이라 3. 전에는 우리도 다 그 가운데서 우리 육체의 욕심을 따라 지내며 육체와 마음의 원하는 것을 하여 다른이들과 같이 본질상 진노의 자녀이었더니 4. 긍휼에 풍성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랑을 인하여 5. 허물로 죽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셨고 ( 너희가 은혜로 구원을 얻은 것이라 ) 6. 또 함께 일으키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하늘에 앉히시니 7.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자비하심으로써 그 은혜의 지극히 풍성함을 오는 여러 세대에 나타내려 하심이니라 8. 너희가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나니 이것이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9.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 이는 누구든지 자랑치 못하게 함이니라 10. 우리는 그의 만드신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이 일은 하나님이 전에 예비하사 우리로 그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하심이니라 11. 그러므로 생각하라 너희는 그 때에 육체로 이방인이요 손으로 육체에 행한 할례당이라 칭하는 자들에게 무할례당이라 칭함을 받는 자들이라 12. 그 때에 너희는 그리스도 밖에 있었고 이스라엘 나라 밖의 사람이라 약속의 언약들에 대하여 외인이요 세상에서 소망이 없고 하나님도 없는 자이더니 13. 이제는 전에 멀리 있던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그리스도의 피로 가까와졌느니라 14. 그는 우리의 화평이신지라 둘로 하나를 만드사 중간에 막힌 담을 허시고 15. 원수 된 것 곧 의문에 속한 계명의 율법을 자기 육체로 폐하셨으니 이는 이 둘로 자기의 안에서 한 새 사람을 지어 화평하게 하시고 16. 또 십자가로 이 둘을 한 몸으로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려 하심이라 원수 된것을 십자가로 소멸하시고 17. 또 오셔서 먼데 있는 너희에게 평안을 전하...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다.

[마태복음 5장 4절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 애통하다. 이는 세상적인 슬픔, 괴로움 등을 말하는 말이 아니라, 본인이 저질렀으나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죄와 여러 신앙적인 이유에 대해 하나님께 은혜를 구하고 가난한 심령 (스스로의 힘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인지하고 전적으로 하나님만 붙드는 마음)으로 울부짖는 것이다.  -애통함의 이유는 두가지로 설명할수 있다- 1. 죄이다.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 설 때, 불결한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자신의 불결함과 하나님의 거룩하심 사이에 무한한 격차를 느끼게 되고, 이러한 격차에서 오는 깊은 슬픔은 애통함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2. 하나님 나라 때문이다.  이미 왔으나 완전히 실현되지 않은 하나님의 통치 때문에 우는 것이다. 하나님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기를 바라고, 하나님 나라가 이 땅 가운데 임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오는 깊은 통곡과 소망을 쏟아내는 것이다.  -애통하는 자의 복은 다음과 같다-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하나님의 위로를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성부는 사랑으로 성자는 은혜로 성령은 위로로 하나님의 자녀답게 살아가도록 하신다.  현실을 감당할 힘은 바로 하나님의 위로에 답이 있다.  죄에 대한 고백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으로 눈물로 씨를 뿌리며 하루하루 살아가길 바래 본다.  (깊이. 읽는. 팔복/김남준 저, 내용 참고...)

시편 1편 (Psalm 1)

  1. 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좇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Blessed is the one who does not walk in step with the wicked or stand in the way that sinners take or sit in the company of mockers,)   2.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 (but whose delight is in the law of the Lord, and who meditates on his law day and night.)   3. 저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시절을 좇아 과실을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 행사가 다 형통하리로다 That person is like a tree planted by streams of water, which yields its fruit in season and whose leaf does not wither — whatever they do prospers.)   4. 악인은 그렇지 않음이여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 Not so the wicked! They are like chaff that the wind blows away.)   5. 그러므로 악인이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이 의인의 회중에 들지 못하리로다 6 대저 의인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의 길은 망하리로다 (Therefore the wicked will not stand in the judgment, nor sinners in the assembly of the righteous.)   6. 무릇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하리로다 . (For the Lord watches over the way of the righteous, but the way of the...

평생교육_교육의 기능론적 관점

  인간은 출생하면서부터 신체적 , 정신적으로 끊임없이 성장 발달하는데 이러한 성장 발달에는 교육이라는 작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본질 , 즉 개인의 발달 가능성을 전제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해줌으로써 이상적 인간 형성을 지향하여 개인을 완성시켜가는 것이 바로 교육인 것이다 . 교육은 모든 개인에 대하여 독특한 고도의 개인적인 과정이며 결국 교육의 성공에 대한 책임은 개인에 속하는 것이다 . 그러나 비록 교육이 고도의 개인적인 과정이라 할지라도 교육은 타인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 이때 타인이란 우리가 모르는 것을 이해하고 알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로서 부모 , 친척 , 친구들일 수도 있고 기술적으로 진보된 사회에서는 학교라는 특별한 기구일 수도 있다. 학교는 인위적으로나 법적으로 형식을 갖춘 특수한 집단으로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훌륭한 시민의 속성을 소유하고 또 고용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젊은이들을 길러 내는 곳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능론적 입장은 사회계층을 조화롭고 자연스러운 기능의 분화로 이해하려 하고 , 사회 구성원은 사회적으로 수행해야 할 기능과 역할이 분화되며 , 각자의 능력과 과업에 따라 역할수행은 물론 분업을 기초로 전체적 목적을 위해 협동적으로 과업을 수행한다는 가정을 가지고 있다 . 따라서 각자의 지위에 따른 보수 , 사회적 대우 , 평가를 받으며 , 이러한 차등적 대가는 정당한 것으로 믿는다 . 기능론에 의한 사회계층의 본질 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음 1.  계층은 보편적이며 필요하고 필연적이다 2.  사회체계가 계층체제를 만든다 3.  계층은 사회와 개인이 적절한 기능을 하도록 촉진한다 4.  계층은 사회적 공동가치의 표현이다 5.  권력은 늘 정당하게 배분된다 6.  일자리와 보상은 평등하게 배분된다 7.  경제적인 부분을 타부분의 밑에 둔다   위와 같은 전반적인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