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조선 직장인_마흔에 읽는 니체(Nietzsche)

이미지
  내일 죽을 것처럼 오늘을 사랑하라! 세비야(Seville)의 대주교를 지냈던 이시도르(Isidore, 560~636)라는 사람의 글이라는 말이있다. 지나온 세월의 흔적을 느끼며 삶에 안주하려 하는 이 순간 문득 눈길을 끄는 책이 있었다. 책을 읽으며 나는 어떻게 이 삶을 사랑할 것이며, 삶이 나에게 말하고자 하는 의미 가 무엇인지 귀 기울이게 되었다. 장재형 저 / 유노북스 / 2022년 09월 01일 책을 읽고 있으면 여러가지 질문들이 나에게 주어진다. '나에게 남은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내가 가진 모든 것이 나를 행복하게 해 주는가?' '나는 내 삶을 제대로 누려 본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가?' '나는 과연 내 인생의 주인인가 아니면 노예인가?' 한국 사회에서 마흔이 주는 의미는 매우 클 것이다.  사회적으로 자리를 잡아서 본인의 역량 뽐내고 있을 수도 있고, 명예퇴직, 실업, 사업의 실패 등 다양한 삶의 변화들을 맞이하고 있을 수도 있다.  '마흔에 읽는 니체' 를 관통하는 핵심은 변화와 도전을 두려워하지 말라 는 것인 것 같다.  늘 해왔고 안정되다고 여기는 일과, 하고 싶고 나를 흥분시키는 일들 속에서 우리는 이것이 운명이라 믿으며 해왔던 일 안정되다고 여기는 그 일들을 하려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과연 이러한 삶은 누구를 위한 삶인지 궁극적인 물음을 던지게 해준다.  니체는 정신이 발전하는 단계를 세 단계로 구분하여 말하고 있다.  정신은 낙타가 되고, 낙타는 사자가 되고, 사자는 아이로 발전한다.  1. 낙타정신이다.  낙타의 정신은 무거운 짐을 지고 버텨 내는 삶의 태도 를 말한다. 곧 강인한 정신과 인내심을 의미한다. 낙타는 현실에 체념하며 '나는 해야 한다' 라며 주인의 명령에 복종할 뿐이다. 자유로운 정신을 강조하는 니체는 낙타를 통해 현대인의 노예적인 모습 을 비유하였다.  2. 사자정신이다.  사자는 자유정신 을

조선직장인 한국사 요점정리_ 순조, 헌종, 철종 그리고 후기 문화

  순조 ( 재위 1800~1834)   - 전국에 암행어사 파견 - 장용영 혁파 - 공노비 해방 - 신유박해 (1801) : 이승훈사형 , 정약용 유배 및 남인 축출 - 홍경래의 난 (1811 년 ) : 평안도 지역에서부터 발생한 농민반란 - 안동김씨 집권 ( 노론 시파 김조순 ) - 행정서 < 만기요람 >, 시문집 < 순재고 > 편찬   헌종 ( 재위 1834 ∼ 1849)   - 풍양조씨의 세도정치 - 세금 제도가 유명무실해짐 - 헌종 시기부터 서양의 배가 종종 등장하기 시작함   철종 ( 재위 1849~1863)   -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 - 임술농민봉기 (1862) : 진주에서 일으킨 민란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퍼진 봉기 / 진주민란 / 농민전쟁이라 부름 - 삼정이정청 설치 (1862) : 삼정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설치한 관청 - 동학 ( 천도교 , 1860) : 최제우가 만든 종교로 서양의 학문이나 종교를 뜻하는 서학에 반대하며 붙여진 이름이다 .   조선후기의 문화   < 양명학 > 실천 , 지행합일 , 정제두 ( 심의지행 ), 강화학파 < 실학 > 실사구시 , 민족자주적 => 국학 1. 중농학파 ( 경세치용학파 ) : 토지분배 와 자영농 육성 - 유형원의 반계수록 : 균전론 , 신분의 차이인정 - 이익의 성호사설 : 한전론 , 영업전 - 정약용의 경세유포 , 흠흠신서 , 목민심서 * 여전론 : 공동소유 , 공동경작 / 노동량에 따라 소비 * 정전론 : 공동경작 , 국가소유 2. 중상학파 ( 이용후생학파 ) : 청나라 북학파로 토지생산력 , 상공업 , 청 문물 수용 - 유수원의 우서 : 사농공상 x -> 직업적평등 - 홍대용 ( 영조 북경에 다녀옴 ) 의 임하경륜 , 의산문답 : 문벌제 x, 혼천의 지전설 , 무한우주론 - 박지원의 열하일기 , 양반전 - 박제가의 북학의 < 국학 > 1. 역사서 안정복 < 동서강목 > - 정통성 한치운

조선시대 사림과 붕당의 형성

조선시대 사림과 붕당의 형성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 사림의 4 대 사화 -   15 세기 조선 건국 세력이었던 훈구 는 세조의 계유정난으로 권력을 잡는다 . 그러나 16 세기 무렵 사화 ( 사림이 당한 재앙 ) 를 통해 사림을 몰아내려 하였으나 사림의 집요한 탄핵으로 훈구는 세력을 잃게 된다 .   무오사화 ( 연산군 ) :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발단 갑자사화 ( 연산군 ) : 폐비윤씨의 죽음과 복위문제로 일어난 사화 기묘사화 ( 중종 ) : 조광조의 위훈삭제가 발단 을사사화 ( 명종 ) : 외척인 대윤과 소윤 간의 다툼   - 사림의 분열과 붕당의 형성 -   1572 년 ( 선조 5 년 ) 사림은 인사권을 쥔 이조 전랑 관직 을 누가 차지하느냐와 훈구세력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따라 내부 분열이 이루어진다 . 그중 강경파 는 김효원을 따르는 쪽은 ‘ 동인 ’ , 온건파 심의겸을 따르는 쪽은 ‘ 서인 ’ 으로 나누어진다 . 이황과 조식을 따르는 제자들은 주로 동인이 되었고 , 정철 등이 있는 곳은 서인 이 된다 . 율곡 이이는 특정 당파가 없었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이이와 성혼은 서인을 대표하는 사람이다 .   선조시절 , 정여립의 모반사건 이 일어난다 . 동인이였던 정여립의 모반 사건으로 동인들은 대규모 숙청 을 당한다 . 이때 서인이였던 정철 이 기축년에 감옥에서 관련자들을 벌하고 대규모로 숙청하였기에 이를 ‘ 기축옥사 ‘ 라고 말한다 . 동인은 정철의 건저 ( 왕의 후계자인 세자를 세우는 일 ) 의 사건 으로 정철을 유배 시키고 , 기축옥사의 보복을 한다 . 이때 정철의 처벌을 두고 동인은 분열 한다 . 강경파는 ‘ 북인 ’ 이고 , 온건파는 ‘ 남인 ’ 이다 .   임진왜란 때 주전론을 주장하고 의병장을 배출한 북인이 먼저 정권을 장악 했고 , 광해군을 지지하는 북인은 임진왜란 이후 영창대군의 어머니인 인목대비를 폐위시킨다 . 폐모 사건에 반발해 서인과 남인이 인조반정 을 일으키게 되고 , 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