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전략의 궁극적인 목표를 살펴 보고자 한다. (1) Good Marketing / Bad Marketing / ugly Marketing -> 좋은 마케팅 은 태도적 충성도를 기반으로 시장을 소유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이다 . 나쁜 마케팅 은 행동적 충성도를 기반으로 단기적인 판매를 증대시켜 매출점유율을 높이는 마케팅으로 경쟁에 취약하며 지속가능한 수익을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 이상한 마케팅 은 가격경쟁에 초점을 맞추어 시장을 구매하는 마케팅으로 경쟁자를 자극하여 가격이라는 딜레마에 빠지는 경우다 . (2) 태도적 충성도 , 행동적 충성도 정의 -> 태도적 충성도 : 호의적인 태도를 의미하는 태도적 충성도는 브랜드 선호와 유사한 개념이다 . 태도적 충성도는 잠재적 고객을 발굴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 즉 , 경제적인 이유 , 제품의 접근 비용이성 등으로 인해 빈번하게 구입할 수는 없으나 ,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자주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고객들의 잠재적 충성도를 의미한다 . 행동적 충성도 : 행동적인 충성도는 제품에 대한 반복적인 구매 , 교차구매등의 실질직이 구매와 관련이 있다 . 그러나 고객들이 단순히 반복구매 행위를 한다고 해서 그들이 높은 충성도를 가졌다고 예상하면 안된다 . 마찬가지로 그들의 자신의 경제적 이유 , 제품의 비접근성으로 인해 이들 제품을 구매하고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 2. 다음은 상품전략과 유통전략에 대한 질문이다 . (1) 제품구성의 3 단계 를 모두 제시하고 , 각각의 정의를 서술하시오 • 핵심제품 - 소비자들이 구매하려는 제품으로부터 기대하는 핵심혜택 ex) 배고픔 - 음식구매 • 유형제품 - 핵심제품이 구체화 되어진 것 ex) 운송수단 - KTX or 무궁화 • 확장제품 - 배달 , A/S 등과 같은 것 , 유형적 제품 속성이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