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직장인의 한국사 요약정리 2
[한국광복군] 1940년에 김구 등의 주도하에 중국 충칭에서 창설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무장 독립군이다. 김구 (통수권자), 지청천 (총사령관), 김원봉 (부사령관), 이범석 (참모장), 최용덕 (총무처장) 등이 주요 인물이다. 대한민국의 독립을 회복하기 위해 일본제국주의를 타도하고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할 것을 목적으로 창설됐다. 미국 CIA의 전신인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5월 말에 해산하였다. [대한독립군단] 1920년 6월 홍범도(洪範圖)가 이끈 대한독립군이 중국 지린성[吉林省] 왕칭현[汪淸縣] 봉오동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김좌진(金佐鎭)이 이끈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이 청산리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자, 일본의 대부대가 만주 전역에 걸쳐 강력한 보복작전을 전개하였다. 이에 각처에 산재한 독립군은 이를 피하여 소만(蘇滿) 국경지대로 집결하였다. 여기에 모인 독립군부대는 북로군정서·대한독립군·간도국민회·대한신민회·의군부(義軍府)·혈성단(血誠團)·광복단·도독부·야단(野團)·대한정의군정사(大韓正義軍政司) 등 10개 단체였다. 이들은 각자의 고집을 버리고 통합하기로 의견을 모아 각 군단 수령회의 의논 결과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기로 하였다. 총재에 서일(徐一), 부총재에 김좌진(金佐鎭)·홍범도·조성환(曺成煥), 총사령에 김규식(金奎植), 참모총장에 이장녕(李章寧), 여단장에 지청천(池靑天)을 임명하고 행동통일을 결의하였으며, 병력은 27소대 3,500명이었다. 그 해 12월 대한독립군단 병력 3,500명은 헤이룽강[黑龍江]을 건너 러시아령(領) 자유시 스랍스케 일대에 주둔하였다. 그러나 러시아혁명 후 일본의 강력한 압력에 굴복한 러시아가 독립군에게 무장해제를 요구하였고, 저항하는 독립군과의 사이에 흑하사변(黑河事變:일명 자유시사변)이 발생하였다. 이때 많은 독립군이 희생되었으며, 결국 해산하였다. * 자유시사변 :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알렉세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