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직장인의 한국사 요약정리 8 (조선시대 행정조직)
- 조선직장인의 한국사 요약정리 8 (조선시대 행정조직) -
1. 중앙행정조직
[중앙]
1) 의정부 : 국정 최고 회의 기구. 국왕 보좌.
2) 6조 : 실질적 행정 담당.
- 이조 : 관리 임명·승진 등 인사권
- 호조 : 조세·재정·호구 파악
- 예조 : 외교, 교육(과거), 종교·제례
- 병조 : 군사·병력 관리
- 형조 : 법률·재판·형벌
- 공조 : 건축·토목·기술 관리
3) 삼사 : 언론 기능, 왕과 대신 견제
4) 승정원 : 왕명 출납, 국왕의 비서실
5) 의금부 : 국왕 직속 재판기관, 반역 사건 담당
2. 지방행정조직
[지방]
1) 관찰사(감사) : 도 단위 최고 책임자, 수령 감찰.
2) 수령 : 부·목·군·현 행정과 사법, 군사권 총괄.
- 향리 : 지방행정 실무 담당 (서기, 세금징수 등).
- 유향소 : 지방 사족 중심의 자치, 향리 규찰·풍속 교화.
- 향청 : 유향소 운영기구.
[조선시대 대표관료 품계]
구분 | 기관 | 최고 책임자 | 품계(계급) | 비고 |
---|---|---|---|---|
최고정무 | 의정부 | 영의정 | 정1품 | 국정 최고 책임자 |
좌의정 | 정1품 | |||
우의정 | 정1품 | |||
6조 | 이조 | 판서 | 정2품 | 인사 담당 |
호조 | 판서 | 정2품 | 재정 담당 | |
예조 | 판서 | 정2품 | 교육·외교 담당 | |
병조 | 판서 | 정2품 | 군사 담당 | |
형조 | 판서 | 정2품 | 법률·형벌 담당 | |
공조 | 판서 | 정2품 | 토목·건축 담당 | |
언론·감찰 | 사헌부 | 대사헌 | 정2품 | 관리 감찰 |
사간원 | 대사간 | 정3품 | 간쟁·간언 | |
홍문관 | 대제학 | 정2품 | 학문·자문 | |
왕권 직속 | 승정원 | 승지(6명) | 정3품 | 왕명 출납 |
의금부 | 의금부사 | 정2품 | 왕 직속 사법기관 | |
지방 | 관찰사(감사) | 관찰사 | 종2품 | 8도 책임자 |
수령 (부윤·목사·군수·현령) | 수령 | 종3품~종6품 | 지역 행정 총괄 | |
향리 | 향리 | 품계 없음(아전) | 행정 실무 담당 | |
유향소 | 자치기구 | 품계 없음 | 사족 중심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