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직장인 한국사 주요사건 요약 (1919년)
[1919년] 1월 21일 대한제국 고종 황제가 덕수궁에서 승하하였다. 승하 직후 일본인에 대한 독살이라는 유언이 퍼졌다. 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 600여명이 2·8 독립 선언 발표. * 2·8 독립 선언(二·八獨立宣言)은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조선 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한 사건 2월 16일 재미대한인국민회가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한국독립청원서 제출 2월 18일 조선체육회 발족 2월 27일 보성사에서 독립선언서를 인쇄 * 보성사(普成社)는 이용익이 1906년 학교 교재 출판을 위해 서울에 세운 인쇄소이다.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이 태화관에서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동시에 전국 각지에서 독립운동이 일어났다. - 민족대표인 이종일은 조선독립신문(朝鮮獨立新聞)을 1919년 3월 1일에 보성사에서 몰래 발간 3월 3일 고종 황제의 국장이 거행 4월 1일 유관순이 천안 아우내장터에서 만세 운동을 지휘하다 체포되 4월 10일 민족운동지도자 29인이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을 개원하고, 내각을 조직함 4월 15일 남만주(南滿洲) 안둥 성 류허 현에서 조맹선(趙孟善)·백삼규(白三奎)·조병준(趙秉準) 등이 모여 대한독립단 결성,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광복군 사령부에 편입됨 5월 3일 만주의 신흥학교를 신흥무관학교로 개편 5월 12일 김규식이 파리평화회의에 참석해 독립청원서를 제출 7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내 연락을 담당하는 연통제 실시를 공포 *연통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내와의 비밀연락망 조직임 8월 20일 헌병 경찰제 폐지 8월 25일 일제강점기: 이승만, 미국 워싱턴 D.C.에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설립 8월 30일 일제강점기: 이동휘,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에 취임 9월 2일 일제강점기: 강우규, 서울역에서 제3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에게 폭탄을 투척했으나 암살 실패 9월 11일 대한민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