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조선직장인의 노하우] 10월11일 미국 주가하락, 트럼프: “시진핑 만날 이유 없다” 발표, 희토류가 그렇게 중요한가?

이미지
 2025년 10월 초 중국의 희토류·자성(마그넷) 수출 통제 강화 발표에 트럼프 대통령은 강경 반응을 하였다. 당일 트럼프의 반응으로 다우·S&P·나스닥 일제 급락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1) 개요 중국의 수출통제 확대: 중국은 2025년 10월 초 희토류(및 관련 자성재료)에 대한 수출통제를 확대한 정책을 발표했고, 특히 반도체·국방·전기차·풍력 등 핵심 산업에 쓰이는 자재를 대상으로 라이선스 요건을 강화했다.  미·중 반응: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경제적 무기화’로 규정하며 대중 관세 대폭 인상 가능성,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취소 언급(“만날 이유 없다”) 등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이 발언은 시장 불안 심리를 촉발했다.  시장 반응: 발표 직후 3대 지수(다우, S&P500, 나스닥)및 코인시장이 급락하는 등 변동성이 커졌다. 투자자들은 공급 차질·기업 실적 둔화 우려로 기술주와 글로벌 리스크에 민감한 자산을 매도했다. 2) 왜 시장이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했을까?  실물 공급망 리스크(재고로 바로 대체 불가) : 희토류와 핵심 자성소재는 제품 설계·생산에서 특정 원소·자재에 의존도가 높다. 단기간 내 대체원 확보·공정 변경이 쉽지 않아 ‘공급 차질 → 생산 지연 → 매출·이익 하방 압력’으로 곧바로 이어진다.  첨단·방위산업 노출(전략자산) : 희토류는 반도체·전기차 모터·풍력발전·항공전자·유도무기 등에서 필수적이라 군사·에너지·기술 경쟁의 핵심 레버가 된다. 시장은 단순 수출관세보다 ‘장기적 경쟁력 약화’ 위험을 더 크게 본다.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외교·무역 정상화 기대 약화) : 정상회담 취소 가능성·관세전쟁 심화 가능성은 기업의 투자·수출 계획에 직접적 불확실성을 준다. 불확실성은 위험자산의 즉각적 할인으로 연결된다.  테크 섹터의 레버리지와 밸류에이션(기술주 민감) : 반도체·클라우드·AI 관련 기업은 공급망(칩·특수소재)에 민감하...

[조선 직장인의 노하우] 일제강점기 조선교육령과 우리의 교육 현실

이미지
 1910년 한일병합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주권이 일본 제국으로 넘어가면서,  한국의 교육은 식민지 통치 도구로 변질되었다.  일본은 조선을 지배하기 위해 "조선교육령"이라는 법령을 제정하여  교육 체계를 통제했는데,  이는 단순히 지식 전달을 넘어 한국인을 ‘황국신민(일본 제국의 충성스러운 백성)’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었습니다. □ 제1차 조선교육령 (1911년)  - 초등교육기관을 "보통학교(4년제)"로 개편  - 중등교육은 일부 학교 신설, 고등교육기관은 설치 불허  - 목적: “충량한 국민 육성”이라는 명분이었지만 실제로는 순종적 식민지 백성 양성  - 3·1운동 이후 문화정책으로 선회하며 보통학교 수업 연한을 6년으로 늘림 * 조선인을 최소한의 지식만 가진 ‘순종적 노동자’로 키우려는 정책이 특징적임 □ 제2차 조선교육령 (1922년)  - “일시동인(一視同仁)”을 내세워 조선인과 일본인에게 같은 교육을 표방  - 그러나 실제로는 동화정책으로, 일본 제도에 맞추어 조선을 흡수하려는 의도  - 보통학교 6년, 고등보통학교 5년, 여자고등보통학교 4~5년으로 개편  - 대학 설립 규정 신설 → 1924년 경성제국대학 설립 * 조선의 교육 인프라를 확충했지만, 본질은 일본 제국에 충성하는 인재 양성이 특징임  □ 제3차 조선교육령 (1938년)  - 배경: 중일전쟁(1937) → 조선을 병참기지화  - 학교 명칭 통일: 소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  - 조선어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격하  - 황국신민화 교육 본격화 (천황 숭배, 일본어 사용 강조)  - 1941년 개정: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편, 교과목을 일본식으로 통합 * 본격적인 전시 동원 체제에 맞춘 교육. 언어와 사상까지 일본에 종속시킴 □ 제4차 조선교육령 (1943년)  - 배경: 태평양 전쟁 심화 →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