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직장인의 노하우] 근로자의 날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

 근로자의 날(노동절, International Workers' Day)은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와 노동 조건 개선을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그 기원은 19세기 노동운동에 있다고 한다. 


[근로자의 날의 역사적 배경]

-미국 시카고 헤이마켓 사건(1886년)-

1886년 5월 1일, 미국 노동자들은 하루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시위 도중 경찰과 노동자 간의 충돌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여러 명이 사망하는 헤이마켓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이 사건은 전 세계 노동운동의 상징이 되었고, 국제 노동자 단체들은 5월 1일을 노동자의 날로 기념하게 되었다.


-국제노동절로 지정(1889년)-

1889년 **제2인터내셔널(국제 노동운동 조직)**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대회에서 5월 1일을 노동자의 날로 지정했다.

이를 계기로 유럽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5월 1일을 기념하는 행사가 확산되었다.

**제2인터내셔널(Second International)**은 1889년 창설된 국제 사회주의 및 노동운동 조직으로, 전 세계 노동자들의 단결과 사회주의 발전을 목표로 했습니다.


[한국의 근로자의 날 유래]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에서도 1920년대부터 노동운동이 활성화되면서 1923년 5월 1일 첫 번째 노동절 행사가 열렸다.

해방 후 1946년, 전국 노동자들이 노동절을 기념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고, 이후 노동계의 중요한 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법정 기념일 제정(1958년, 1963년 공식 지정)-

1958년, 이승만 정부는 노동절을 ‘근로자의 날’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63년, 박정희 정부는 5월 1일을 법정 공휴일에서 제외하고, 대신 3월 10일을 ‘근로자의 날’로 지정했다.

그러나 노동계의 반발로 1994년 다시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공식 지정하였으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 날을 「근로기준법」에 따른 유급휴일(有給休日)로 한다.

참고로, 근로기준법에서 유급휴일을 보장하지 않는 1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도 근로자의 날에는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다고 한다. 


[근로자의 날의 의미]

1.노동자들의 권리와 노동 환경 개선을 기념하는 날

2.노동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날

3.근로자의 노고를 인정하고 격려하는 날


대한민국에서는 근로자의 날이 법정 공휴일은 아니지만 근로기준법에 따라 대부분의 기업과 기관에서 휴무일로 지정하고 있다. 

다만, 공무원과 일부 직종(예: 금융권, 의료진 등)은 정상 근무를 하기도 한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내식당 투어] 가산디지털단지 "바른식탁"

[조선직장인의 노하우] 남한산성 등산

[조선직장인의 한국사] 요점정리 (15)_ 조선(태조, 정종, 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