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직장인의 노하우] 조선시대 산불기록과 대응방식

 1. 조선시대 산불 기록 1) 태종 5년(1405년) - 개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태종실록》에 따르면, 1405년 개성에서 큰 산불이 발생하여 많은 가옥과 시설이 소실되었다고 한다.  이때 태종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산불 예방과 대응을 강화할 것을 명령했다고 한다.  2) 세조 3년(1457년) - 경복궁 화재 경복궁에서 불이 나 큰 피해를 입었으며, 산불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긴급 대응이 이루어졌다고 하네요. 당시 기록에 따르면, "불길이 산으로 번지는 것을 우려하여 군사를 동원해 급히 진화하였다"라고 남아 있다. 3) 성종 16년(1485년) - 한양 인근 산불 《성종실록》에는 "한양 근처의 산에 큰불이 나자 관리들에게 소방 대비책을 마련하도록 지시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부터 왕실에서는 화재 방지를 위한 화재 감시 체계를 일부 도입하기 시작했다. 4) 숙종 27년(1701년) - 북한산 산불 북한산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여, 여러 사찰과 시설이 피해를 입었는데,  숙종은 이에 대한 원인을 조사하게 했으며, 산불 예방을 위한 주민 계도 및 감시 강화를 명령했다. 5) 정조 17년(1793년) - 창덕궁 후원 산불 창덕궁 후원(비원)에서 불이 나면서 산림이 소실되었고, 정조는 산불 방지를 위해 궁궐 내 화기 사용을 엄격히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2. 조선시대 산불 대응방식  1) 산불 예방을 위한 조치 -산불이 잦은 지역에 화재 감시인을 배치 -사찰과 민가에서 불을 조심할 것을 지속적으로 계도 -산불이 난 후 책임자를 문책하는 사례도 존재 2) 산불 진화 방법 -산불이 발생하면 인근 주민과 군사를 동원해 진화 -나뭇가지를 이용해 불길 차단 -중요한 시설 주변에 불 번짐을 막기 위한 방화선 조성

[조선직장인의 노하우] 근로자의 날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

 근로자의 날(노동절, International Workers' Day)은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와 노동 조건 개선을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그 기원은 19세기 노동운동에 있다고 한다.  [근로자의 날의 역사적 배경] -미국 시카고 헤이마켓 사건(1886년)- 1886년 5월 1일, 미국 노동자들은 하루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시위 도중 경찰과 노동자 간의 충돌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여러 명이 사망하는 헤이마켓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이 사건은 전 세계 노동운동의 상징이 되었고, 국제 노동자 단체들은 5월 1일을 노동자의 날로 기념하게 되었다. -국제노동절로 지정(1889년)- 1889년 **제2인터내셔널(국제 노동운동 조직)**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대회에서 5월 1일을 노동자의 날로 지정했다. 이를 계기로 유럽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5월 1일을 기념하는 행사가 확산되었다. **제2인터내셔널(Second International)**은 1889년 창설된 국제 사회주의 및 노동운동 조직으로, 전 세계 노동자들의 단결과 사회주의 발전을 목표로 했습니다. [한국의 근로자의 날 유래]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에서도 1920년대부터 노동운동이 활성화되면서 1923년 5월 1일 첫 번째 노동절 행사가 열렸다. 해방 후 1946년, 전국 노동자들이 노동절을 기념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고, 이후 노동계의 중요한 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법정 기념일 제정(1958년, 1963년 공식 지정)- 1958년, 이승만 정부는 노동절을 ‘근로자의 날’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63년, 박정희 정부는 5월 1일을 법정 공휴일에서 제외하고, 대신 3월 10일을 ‘근로자의 날’로 지정했다. 그러나 노동계의 반발로 1994년 다시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공식 지정하였으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 날을 「근로기준법」에 따른 유급휴일(有給休日)로 한다. 참고로, 근로기준법에서 유급휴일을 보장하지 ...

[조선 직장인의 노하우] 온디바이스 AI (On-Device AI) 내용 정리

[ 개요 ] ㅇ ( 정의 )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인터넷 연결 없이 , 기기 내부에서 AI 연산을 처리하는 방식 ※ 온디바이스 AI 기술 은 스마트폰 , 스마트워치 , 스마트 가전제품 등 개인 기기에 인공지능 (AI) 기능을 탑재 , 클라우드에 의존하지 않고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 ( 용어 ) 온디바이스 (On-Device) : ‘ 기기에서 ’, ‘ 장치에서 ’, ‘ 디바이스에서 ’ 등으로 번역하거나 ‘ 디바이스에 올라간 ’, ‘ 탑재된 ’ 의미로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자동차 , 로봇 , 컴퓨터 등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지칭할 때 사용 ㅇ ( 특징 ) 빠른 서비스 제공 , 강화된 정보 보안 , 에너지 소모 절감 등 클라우드 컴퓨팅 단점 보완 ㅇ ( 장점 ) 개인 데이터 보호 및 보안 , AI 성능 향상 , 최적화된 개인화 , 사용 비용 절감 , 환경 및 지속가능성 (ESG) ㅇ ( 한계 ) 복잡한 AI 모델 실행 처리 능력 한계 , 대용량 데이터나 복잡한 AI 모델의 기기 내 저장 시 메모리 ( 공간 ) 제약 , 하드웨어 제한에 따른 기능 제한   [AI 기술 트렌드 변화 ] ㅇ ▲ 1980 년대 인터넷의 대중화 , ▲ 2007 년 모바일 시대 개막 , ▲ 2022 년 ChatGPT 등장에 따른 생성형 AI 확산 , ▲ 2024 년 AI 경험의 대중화 , 온디바이스 AI 개화 ㅇ 최근 사물인터넷 (IoT) 의 발달과 폭발적인 데이터양 증가에 따른 데이터 처리 해소 방안이 필요 성이 요구되고 있음 ㅇ (AI 서비스 종류 ) ▲ 빅데이터 ․ 서비스로 대표되는 클라우드 기반 AI 가 인공지능 시장 성장을 주도 , ▲ 이후 디바이스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면서 하드웨어 공급자 중심의 엣지 AI(Edge AI) 가 주목 , ▲ 생성형 AI 의 발전과 인터넷 연결 없이 작은 데이터 기반의 AI 수행을 위한 온디바이스 AI( 스몰 AI, Tiny AI 라고도 함 ) 로 기술 발전 ...